Android (140) 썸네일형 리스트형 [Mockito] Spy Object를 사용하여 Unit Test를 해보자. 2022.02.24 - [Android/TDD] - [Mockito] Mockito를 사용하여 Unit Test 를 해보자 (feat. Truth + Junit4) 2022.02.25 - [Android/TDD] - [Mockito] Mockito를 사용해 Instrumented Unit Test를 해보자 필자가 이전에 Mockito를 사용하여 Test 작업을 했던 것들에 대한 글이 몇 개 존재한다. 해당 게시글에서는 아주 간단한 Sample Object를 사용하여, 아주 간단한 Test만 진행했었기 때문에 쉬운 난이도로 테스트를 진행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필자가 실제로 프로젝트에 Unit Test를 적용해보려고 하니 생각보다 정상적으로 되는 것이 많이 없었다. Sample과 다르게 상속 받는 것들.. [Android] 공통된 Gradle Code를 빼내어 관리해보자. 이전 게시글 2022.02.08 - [Android/Gradle] - [Android] Multi Module에서 Gradle 공통화를 해보자. 에서도 공통된 Gradle Code를 빼내어서 공통화시킨다는 동일한 주제로 글을 작성했었다. 하지만, 해당 글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해결하게 되어서 글을 다시 작성하게 되었다. 우선, 이전 게시글에서는 중복된 코드가 들어간 common.gradle을 만들고, Project 범위의 gradle에서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dependencies와 compileSdkVersion과 같이 빼내지 못하는 코드들이 있었고, 해당 코드들은 중복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module 범위의 gradle에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여기서, Proj..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4. LintFix를 통한 Lint 수정 본 게시글은 이전 게시글에 이어서 작성된 부분입니다. 2022.04.13 - [Android/Lint] -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1. 기본 설정 및 적용 2022.04.15 - [Android/Lint] -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2. XML Rule 2022.04.17 - [Android/Lint] -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3. Code Convention Rule 이번 게시글에서는 LintFix를 사용하여 지정된 format으로 Lint를 수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Lint는 적용이 되어있고, Window 기준 Alt + Enter MacOs 기준 Opti..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3. Code Convention Rule 본 게시글은 이전 게시글에 이어서 작성된 부분입니다. 2022.04.13 - [Android/Lint] -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1. 기본 설정 및 적용 2022.04.15 - [Android/Lint] -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2. XML Rule 이번 게시글에서는 Custom Code Convention에 대하여 Lint를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몇 가지의 Lint 조건을 추가해보고자 한다. Class Name, Method Name, Variable name, value에 대한 Custom Lint Rule을 추가해 볼 예정이며, Issue에 대한 내용은 첫 번째 기본 설정 및 적용에 대한 글에 작성되어 있으므로 생략..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2. XML Rule 본 게시글은 이전 게시글에 이어서 작성된 부분입니다. 2022.04.13 - [Android/Lint] -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1. 기본 설정 및 적용 지난번 게시글에서는 기본적인 설정과 Method에 대한 Lint Rule을 추가했었는데, 이번에는 XML 파일에 대한 Lint Rule을 추가해보고자 한다. Item 전체에 대한 lint, 속성 값에 대한 lint, 이 두 가지를 합친 경우. 3가지에 대하여 작성할 예정이다. 우선, XML도 마찬가지로 Issue와 Detector가 필요하다. 하지만, Issue의 경우 사용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마음대로 커스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Method에 대한 Issue와 한 가지를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사용하면 된다. 변경.. [Lint] Lint에 Custom rule을 추가해보자. - 1. 기본 설정 및 적용 Android Studio에서 제공하는 Lint는 필요에 따라 Custom Rule을 추가할 수 있다. 즉, 이처럼 정상적인 코드를 오류로 표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의 Log와 더불어 몇 개의 Custom Rule을 추가해볼 예정인데, 필자가 해당 부분을 적용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와 해결했던 방법을 위주로 작성해보고자 한다. 우선, Lint Rule을 작성할 Module을 만들어 주도록 하자. lint 모듈에 룰을 작성하기 전에 module 범위의 gradle에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여기서 첫 번째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pply plugin: 'java-library' source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1_8 targetCompatibility = Ja.. [Scrcpy] Mac OS에서 scrcpy를 사용하여 화면을 미러링 해보자. 필자가 집에서 mac으로 작업을 하던 도중, 필자의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기기를 들고 테스트하기가 귀찮은 나머지 mac에 기기 화면을 미러링하여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보았다. 그 뿐 아니라, usb를 사용해 기기를 연결하는 것조차 귀찮음을 느껴 무선으로 연결하여 화면을 미러링 하는 방법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역시 무언가 불편함을 느껴야 더 편한 방법을 찾아내는 것 같다. 우선 scrcpy를 사용한 화면 미러링을 해보고, 무선 디버깅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미러링을 적용하는 순서로 진행하고자 한다. * window의 환경에서도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적용이 가능하며, 터미널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만 window에 맞춰서 사용하면 된다. 우선, mac에서 기본적으로 다른 애플리케.. [WebView] WebView 사용 방법 - 2. WebClient 및 다중 JavaScriptInterface 사용. 본 게시글은 이전 게시글에 이어서 작성된 부분입니다. 2022.04.06 - [Android/WebView] - [WebView] WebView에서 JavaScriptInterface를 사용해보자. 전에 작성했던 webView 부분을 조금 더 확장해서 기능을 추가해볼 예정이다. 기본으로 사용했던 Client를 간단하게 커스텀해보고, 2개의 javaScriptInterface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해 보았다. 우선 이전에 사용했었던 WebViewClient, WebChromeClient를 상속받는 클래스를 만들어서 해당 부분을 커스텀해보았다. 이처럼 Base에 해당하는 패키지에 작성해 두었고, 현재 많은 부분을 커스텀할 수는 없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부분만 Override 하여서 사용해 보았다. ..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